문제 설명
트럭 여러 대가 강을 가로지르는 일차선 다리를 정해진 순으로 건너려 합니다.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너려면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알아내야 합니다. 다리에는 트럭이 최대 bridge_length대 올라갈 수 있으며, 다리는 weight 이하까지의 무게를 견딜 수 있습니다. 단, 다리에 완전히 오르지 않은 트럭의 무게는 무시합니다.
예를 들어, 트럭 2대가 올라갈 수 있고 무게를 10kg까지 견디는 다리가 있습니다. 무게가 [7, 4, 5, 6]kg인 트럭이 순서대로 최단 시간 안에 다리를 건너려면 다음과 같이 건너야 합니다.
경과 시간다리를 지난 트럭다리를 건너는 트럭대기 트럭0 | [] | [] | [7,4,5,6] |
1~2 | [] | [7] | [4,5,6] |
3 | [7] | [4] | [5,6] |
4 | [7] | [4,5] | [6] |
5 | [7,4] | [5] | [6] |
6~7 | [7,4,5] | [6] | [] |
8 | [7,4,5,6] | [] | [] |
따라서, 모든 트럭이 다리를 지나려면 최소 8초가 걸립니다.
solu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다리에 올라갈 수 있는 트럭 수 bridge_length, 다리가 견딜 수 있는 무게 weight, 트럭 별 무게 truck_weights가 주어집니다. 이때 모든 트럭이 다리를 건너려면 최소 몇 초가 걸리는지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bridge_length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weight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truck_weights의 길이는 1 이상 10,000 이하입니다.
- 모든 트럭의 무게는 1 이상 weight 이하입니다.
2 | 10 | [7,4,5,6] | 8 |
100 | 100 | [10] | 101 |
100 | 100 | [10,10,10,10,10,10,10,10,10,10] | 110 |
문제 이해
일단 문제 이해부터 고난이었다.
응? 왜 처음 7이 다리를 건널 때 2초가 걸리지..?
보니깐 문제가 약간 불친절하기도 하다. 그래서 문제에 부가 설명을 하자면,
bridge_length의 값이 2인 것은 다리의 길이가 2인 것이고,
다리를 1만큼 건널 때 1초가 소요되는 것이다. 음 말로 설명하자니 그래도 이해가 안간다....
그래서 그림을 그려보니 확실히 이해가 간다.!!
그럼 이제 문제를 풀어보자.
나의 풀이
> 첫 번째 풀이
def solution(bridge_length, weight, truck_weights):
answer = 0
bridge = [0 for _ in range(bridge_length)]
while bridge:
answer += 1
bridge.pop(0)
if truck_weights:
if sum(bridge) + truck_weights[0] <= weight:
t = truck_weights.pop(0)
bridge.append(t)
else:
bridge.append(0)
return answer
트럭이 다리를 지나는 과정을 answer+=1을 통해 경과시간 계산
- answer : 경과시간
- bridge : 다리 길이와 같은 길이의 값이 0으로 된 리스트 생성
- bridge 리스트 안 (즉 다리 위에 있느 트럭의 총 무게)과 다음 대기열에 있는 트럭 무게가 다리가 감당할 수 있는 총 무게 (weight) 을 넘지 않는 조건을 만족하면 다음 트럭을 리스트에 추가한다
- 만족을 하지 못한다면 0을 추가하여 다리의 길이를 유지
- 트럭의 대기열의 길이가 0이 되면 내부 반복문 종료
- bridge 리스트의 길이가 0이 되면 반복문 종료후 경과시간 (answer) 리턴
* 시간 초과로 실패
> 두 번째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bridge_length, weight, truck_weights):
bridge = deque(0 for _ in range(bridge_length))
truck_weights = deque(t for t in truck_weights)
answer = 0
bridge_weight = 0
while bridge:
answer += 1
bridge_weight -= bridge.popleft()
if truck_weights:
if bridge_weight + truck_weights[0] <= weight:
truck = truck_weights.popleft()
bridge.append(truck)
bridge_weight += truck
else:
bridge.append(0)
return answer
- 가상의 다리 bridge를 리스트 형태로 만들어서 실제로 트럭이 지나간다고 생각하고 문제를 풀었더니 더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 bridge 가장 앞 쪽이 pop해서 사라지고 뒤에 하나가 붙는 방식으로 생각하면 자연스럽게 트럭이 이동하는 모습을 상상할 수 있다.
- 현제 다리 위의 무게와 다음 트럭의 무게를 비교해서 무게 한도를 넘지 않으면 트럭을 올려주면 된다.
- 트럭이 다 넘어가고 나면 천천히 pop에 의해서 bridge의 요소들이 하나씩 빠져 나가고 결국 트럭이 모두 지나간 형태가 된 후 종료된다.
처음 문제를 풀 때는 bridge_weight변수를 따로 두고 무게를 계산하지 않았다.
sum(brige) + truck_Weights[0] 으로 매번 sum을 사용해서 무게를 측정하였더니 시간이 많이 걸렸고 테스트5번에서 시간 초과가 나왔다. 매번 O(n) 만큼의 시간이 추가되는 것이다. 보통의 경우 sum(list)가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아서 별 생각없었는데, 주의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bridge_weight 라는 변수를 두고 bridge_weight + truck_weights[0] <= weight 이렇게 바로 계산을 진행하니 시간 초과를 해결하고 문제를 풀 수 있었다.
'CodingTest > [프로그래머스 LV.2]'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음사전 - 파이썬 (2) | 2024.03.14 |
---|---|
프로그래머스 Lv.2 - 소수 찾기[Python] : 완전탐색 (0) | 2023.03.04 |
프로그래머스 Lv.2 - 가장 큰 수[Python] : 정렬 (0) | 2023.02.28 |
프로그래머스 Lv.2 - 오픈채팅방[Python] :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0) | 2023.02.20 |
프로그래머스 Lv.2 - 더 맵게[Python] : 힙(Heap) (0) | 2023.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