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문제 설명

두 정수 a, 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예를 들어 a = 3, b = 5인 경우, 3 + 4 + 5 = 12이므로 12를 리턴합니다.

def solution(a, b):
    if a < b :
        return sum(list(range(a, b+1)))
    else:
        return sum(list(range(b, a+1)))

풀이

  • 두 정수 a,b가 주어졌을 때, a와 b 사이에 속한 모든 정수의 합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 a와 b가 같은 경우는 둘 중 아무 수나 리턴하라.
    -> if 조건문 + sum() + list + range로 구현하였다.
# 짧은 코드
def adder(a, b):
    # 함수를 완성하세요
    if a > b: a, b = b, a

    return sum(range(a,b+1))
728x90
728x90

문제 설명

다음은 종합병원에 등록된 환자정보를 담은 PATIENT 테이블입니다. PATIENT 테이블은 다음과 같으며 PT_NO, PT_NAME, GEND_CD, AGE, TLNO는 각각 환자번호, 환자이름, 성별코드, 나이, 전화번호를 의미합니다.

Column nameTypeNullable
PT_NO VARCHAR(10) FALSE
PT_NAME VARCHAR(20) FALSE
GEND_CD VARCHAR(1) FALSE
AGE INTEGER FALSE
TLNO VARCHAR(50) TRUE

문제

PATIENT 테이블에서 12세 이하인 여자환자의 환자이름, 환자번호, 성별코드, 나이, 전화번호를 조회하는 SQL문을 작성해주세요. 이때 전화번호가 없는 경우, 'NONE'으로 출력시켜 주시고 결과는 나이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하고, 나이 같다면 환자이름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

SELECT PT_NAME, PT_NO, GEND_CD, AGE, IFNULL(TLNO, 'NONE') AS TLNO
FROM PATIENT
WHERE AGE <= 12 AND GEND_CD = 'W'
ORDER BY AGE DESC, PT_NAME
728x90
728x90

문제 설명

다음은 종합병원에 속한 의사 정보를 담은DOCTOR 테이블입니다. DOCTOR 테이블은 다음과 같으며 DR_NAME, DR_ID, LCNS_NO, HIRE_YMD, MCDP_CD, TLNO는 각각 의사이름, 의사ID, 면허번호, 고용일자, 진료과코드, 전화번호를 나타냅니다.

Column nameTypeNullable
DR_NAME VARCHAR(20) FALSE
DR_ID VARCHAR(10) FALSE
LCNS_NO VARCHAR(30) FALSE
HIRE_YMD DATE FALSE
MCDP_CD VARCHAR(6) TRUE
TLNO VARCHAR(50) TRUE

문제

DOCTOR 테이블에서 진료과가 흉부외과(CS)이거나 일반외과(GS)인 의사의 이름, 의사ID, 진료과, 고용일자를 조회하는 SQL문을 작성해주세요. 이때 결과는 고용일자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하고, 고용일자가 같다면 이름을 기준으로 오름차순 정렬해주세요.


예시

DOCTOR 테이블이 다음과 같을 때

DR_NAMEDR_IDLCNS_NOHIRE_YMDMCDP_CDTLNO
루피 DR20090029 LC00010001 2009-03-01 CS 01085482011
패티 DR20090001 LC00010901 2009-07-01 CS 01085220122
뽀로로 DR20170123 LC00091201 2017-03-01 GS 01034969210
티거 DR20100011 LC00011201 2010-03-01 NP 01034229818
품바 DR20090231 LC00011302 2015-11-01 OS 01049840278
티몬 DR20090112 LC00011162 2010-03-01 FM 01094622190
니모 DR20200012 LC00911162 2020-03-01 CS 01089483921
오로라 DR20100031 LC00010327 2010-11-01 OS 01098428957
자스민 DR20100032 LC00010192 2010-03-01 GS 01023981922
DR20100039 LC00010562 2010-07-01 GS 01058390758

SQL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되어야 합니다.

DR_NAMEDR_IDMCDP_CDHIRE_YMD
니모 DR20200012 CS 2020-03-01
뽀로로 DR20170123 GS 2017-03-01
DR20100039 GS 2010-07-01
자스민 DR20100032 GS 2010-03-01
패티 DR20090001 CS 2009-07-01
루피 DR20090029 CS 2009-03-01

주의사항

날짜 포맷은 예시와 동일하게 나와야합니다.

SELECT DR_NAME, DR_ID, MCDP_CD, DATE_FORMAT(HIRE_YMD, '%Y-%m-%d') AS HIRE_YMD
FROM DOCTOR
WHERE MCDP_CD = 'CS' OR MCDP_CD = 'GS'
ORDER BY HIRE_YMD DESC, DR_NAME
728x90
728x90

문제 설명

자연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을 x로 나눈 나머지가 1이 되도록 하는 가장 작은 자연수 x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답이 항상 존재함은 증명될 수 있습니다.


제한사항
  • 3 ≤ n ≤ 1,000,000

입출력 예nresult
10 3
12 1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10을 3으로 나눈 나머지가 1이고, 3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가 없으므로, 3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12를 11로 나눈 나머지가 1이고, 11보다 작은 자연수 중에서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수가 없으므로, 11을 return 해야 합니다.
def solution(n):
    for i in range(1,n):
        if n%i == 1:
            answer =i
            break
    return answer

더 간단하게..

def solution(n):
    return [x for x in range(1,n+1) if n%x==1][0]
728x90
728x90

문제 설명

양의 정수 x가 하샤드 수이려면 x의 자릿수의 합으로 x가 나누어져야 합니다. 예를 들어 18의 자릿수 합은 1+8=9이고, 18은 9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8은 하샤드 수입니다. 자연수 x를 입력받아 x가 하샤드 수인지 아닌지 검사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x는 1 이상, 1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arrreturn
10 true
12 true
11 false
13 false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10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1입니다. 10은 1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0은 하샤드 수입니다.

입출력 예 #2
12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3입니다. 12는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12는 하샤드 수입니다.

입출력 예 #3
11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2입니다. 11은 2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11는 하샤드 수가 아닙니다.

입출력 예 #4
13의 모든 자릿수의 합은 4입니다. 13은 4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13은 하샤드 수가 아닙니다.

def solution(x):
    return x % sum([int(c) for c in str(x)]) == 0​
def solution(x):
    X = list(map(int, str(x)))
    Sum = sum(X)
    
    if x % Sum == 0 :
        return True
    else :
        return False

1. 하샤드의 수의 조건은 자릿수의 합이 그 수를 나누어 떨어지게 하는 값이라면 그 수는 하샤드의 수가 되는 것입니다.

 

2. 우선 입력받은 수를 문자열로 바꿔 구분짓고 map() 함수로 다시 int형으로 변환해서 sum() 함수로 더합니다.

 

3. x에 그 더한 값을 나누어서 0이 되면 True를 반환하게 됩니다.

 

4. sum을 쓰려면 쪼갠 각 자리수들이 int형이어야 합니다.

 

<풀이>

이 문제는 제일 먼저 x의 모든 자릿수 합을 구해야한다.

  • x를 str(), list()를 통해 각 자리수를 리스트로 구현한다.
  • 이 리스트를 map(), int(), list()를 통해 각 자리수를 정수로 매핑한 리스트를 만들고 sum() 함수로 전부 더하여 x의 모든 자릿수 합을 구한다.

>> x의 모든 자릿수 합을 구한 값과 x를 mod연산하여 나머지가 0이면 true 아니면 false를 반환하면 된다.

728x90
728x90

문제 설명

함수 solution은 정수 n을 매개변수로 입력받습니다. n의 각 자릿수를 큰것부터 작은 순으로 정렬한 새로운 정수를 리턴해주세요. 예를들어 n이 118372면 873211을 리턴하면 됩니다.

제한 조건
  • n은 1이상 8000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nreturn
118372 873211
def solution(n):
    ls = list(str(n))
    ls.sort(reverse = True)
    return int("".join(ls))
728x90
728x90

문제 설명

문자열 s를 숫자로 변환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하세요.

제한 조건
  • s의 길이는 1 이상 5이하입니다.
  • s의 맨앞에는 부호(+, -)가 올 수 있습니다.
  • s는 부호와 숫자로만 이루어져있습니다.
  • s는 "0"으로 시작하지 않습니다.
입출력 예

예를들어 str이 "1234"이면 1234를 반환하고, "-1234"이면 -1234를 반환하면 됩니다.
str은 부호(+,-)와 숫자로만 구성되어 있고, 잘못된 값이 입력되는 경우는 없습니다.

 

 

<풀이>

def solution(s):
    return int(s)

 

728x90
728x90

문제 설명

함수 solution은 정수 x와 자연수 n을 입력 받아, x부터 시작해 x씩 증가하는 숫자를 n개 지니는 리스트를 리턴해야 합니다. 다음 제한 조건을 보고, 조건을 만족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조건

  • x는 -10000000 이상, 10000000 이하인 정수입니다.
  • n은 1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xnanswer
2 5 [2,4,6,8,10]
4 3 [4,8,12]
-4 2 [-4, -8]

<풀이>

def solution(x, n):
    return  [x*i for i in range(1, n+1)]

 

728x90

+ Recent posts